오사카시구레(大阪しぐれ) 미야코 하루미(都 はるみ, 1948년 2월 22일 ~ )는 일본의 엔카 가수이다. 본명은 기타무라 하루미(北村春美). 1948년 일본 교토 부 교토 시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기타무라 하루미(北村春美)이나, 일본의 저널리스트 아리타 요시후(有田芳生)는 자신의 저서 '〈歌屋 都はるみ〉에서, 그녀의 아버지는 재일한국인이며, 그녀의 한국 이름은 이춘미(李春美)라고 적고 있다. 교토 시에 있는 라쿠요 종합 고등학교(洛陽総合高等学校)를 다니다가 가수가 되고싶다는 이유로 중퇴하였다. 1964년 《곤란해요 (困ることヨ)》로 데뷔하였으며, 이후 같은 해 발표한 《앙코동백은 사랑의 꽃(アンコ椿は恋の花》이 히트하면서 스타 반열에 올랐다. 이후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하면서 일본 가요계를 대표하는 대 스타가 되었다. 1984년 '보통의 아줌마가 되고싶다.(普通のおばさんになりたい。)'는 말을 남기고 NHK 홍백가합전을 끝으로 은퇴하였으나, 1987년 음악 프로듀서로서 활동을 재개하였다. 이후 1989년 NHK 홍백가합전을 통해 가수로 복귀하여 지금에 이른다. NHK 홍백가합전에는 1965년부터 1984년까지, 1989년부터 1997년까지 총 29회 출연했다. 현재 레코드 회사는 콜롬비아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녀는 독특한 꺾기 창법을 잘 구사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그녀의 독특한 꺾기는 여러 연예인에 의해 성대모사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그녀는 주로 애수(哀愁)가 담긴 곡들을 많이 노래했으며, 이외에도 고향인 교토를 소재로 한 노래들을 취입하기도 하였다. 또한 엔카 이외의 장르의 곡들도 자주 부르기도 한다. 1989년에는 일본에서 데뷔한 김연자의 곡을 프로듀싱 하는 등 후배 양성에 힘을 기울이기도 하였다. *しぐれ (時雨) 시구레 ; 늦가을부터 초겨울에 걸쳐 오다 말다 하는 비 大坂しぐれ (오사카 시구레,오사카 늦가을 비) - 都 はるみ (미야코하루미)
1) ひとりで 生きてくなんて できないと 히토리데 이키테쿠난테 데키나이토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고
泣いて すがれば ネオンが ネオンが しみる 나이테 스가레바 네온가 네온가 시미루 울며 매달리니 네온이, 네온 빛이 스며드네요
北の新地は おもいでばかり 雨もよう 키타노신치와 오모이데 바카리 아메모요- 키타신치(오사카 북쪽의 新 시가지)는 추억뿐, 금방이라도 비가 내릴 듯한데
夢も ぬれます 꿈도 젖는군요
ああ 大阪しぐれ 아아 오오사카시구레
2) ひとつ やふたつじゃないの ふるきずは 히토쯔야 후타쯔쟈나이노 후루키즈와 하나 둘이 아니에요. 옛 상처는
? ?木の 堂島 堂島 すずめ
こんな わたしで いいなら あげる 何もかも 콘나 와타시데 이이나라 아게루 나니모카모 이런 내가 괜찮다면 드릴게요. 모든 것을
抱いて 下さい 다이테 쿠다사이
ああ 大阪しぐれ 아아 오오사카시구레
3) しあわせ それとも 今は 不しあわせ 시아와세 소레도모 이마와 후시아와세
醉って あなたは 曾根崎 曾根崎 あたり 요테 아나타와 소네자키 소네자키 아타리
つくし足りない わたしが 惡い あのひとを 쯔쿠시 타리나이 와타시가 와루이 아노히토오
雨よ 返して 아메요 카에시테 비여! 돌려다오
ああ 大阪しぐれ 아아 오오사카시구레 혜미 - 오사카 시구레 ( 大阪しぐれ ) 北国の春(기타구니노 하루) - 조아람 전자바이올린 Miyako Harumi https://youtu.be/YUwP3pTYxZo 大阪しぐれ 都はるみ ![]() 1.大阪しぐれ - 都はるみ -.-스마트폰에서 재생불가..2.오사카시구레((大阪しぐれ) - 미야코하루미 (cover by 전미솔) 작사: 吉岡 治 (요시오카 오사무) 3. 大阪しぐれ 森 昌子(모리 마사코)▶https://youtu.be/aQCpU5uEvl8 都 はるみ (미야코하루미) 1.大坂しぐれ (오오사카시구레,오사카 늦가을 비) - 都 はるみ (미야코하루미) |
'앤카 > 都 はるみ'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都はるみ - アンコ椿は戀の花 (안코쓰바키와코이노하나=아가씨동백은 사랑의 꽃) (0) | 2012.02.29 |
---|---|
アンコ椿は戀の花 (0) | 2010.12.31 |
夫婦坂 (0) | 2010.08.16 |
たそがれの橋 (0) | 2010.05.18 |
大阪しぐれ,,都 はるみ (0) | 2010.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