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如富賈在博收 代書答梁先.蘇東坡 代書答梁先 (편지를 대신하여 양선에게 답한다)중에서 學如富賈在博收 학문이란 큰 상인처럼 두루 모아야 하는 것 仰取俯拾無遺籌 고개 들어도 얻고 숙여도 주워서 빠진게 없어 서예/행초서 2014.04.29
玉輪越過山 玉輪越過山 달이 산을 가로질러 가는데 虛中着望硯 마음을 비우고 벼루를 바라보네 吐涎蛙硯滴 물을 토해내는 개구리연적이여! 墨汁筆弄濕 먹을 머금은 붓은 축축히 젖었네 서예/행초서 2013.10.13
[스크랩] 좌우명(座右銘) 白居易 8폭병풍/춘강서 좌우명(座右銘) 白居易 ①勿慕富與貴(물모부여귀):부귀를 흠모하지 말고 勿憂賤與貧(물우천여천):빈천(貧賤)을 근심하지 말라. 自問道何如(자문도하여):스스로 도가 어떠한지 묻는다면, 貴賤安足云(귀천안족운):귀천을 어찌 족히 말할 수 있겠는가? ②聞毁勿戚戚(문훼물척척):헐뜯음을 .. 서예/행초서 2013.07.01
[스크랩] 박문수어사 낙조(등과시) 朴文秀御使 落照(登科詩) 4폭글씨와 6폭 병풍/춘강 작 박문수어사 낙조(등과시) 朴文秀御使 落照(登科詩) 4폭글씨와 6폭 병풍/춘강 작 출처-< 김춘강갤러리> 박문수어사 낙조(등과시) 朴文秀御使 落照(登科詩) 落照吐紅掛碧山(낙조토홍괘벽산):지는 해는 푸른 산에 걸려 붉은 빛을 토하고 寒鴉尺盡白雲間(한아척진백운간):찬 갈 가마귀 떼 .. 서예/행초서 2013.07.01
[스크랩] 환아잠 (還我箴) / 나 자신으로 돌아가자,辛卯年 新正초하루,8폭병풍 左手握筆로/春剛쓰다 환아잠 (還我箴) / 나 자신으로 돌아가자,辛卯年 新正초하루,8폭병풍 左手握筆로/春剛쓰다 출처-< 김춘강갤러리> 작품을 클릭하면 크게볼 수 있습니다 還我箴(환아잠)/*혜환재(惠&#23536;齋)이용휴(李用休,1708~1782) 나 자신으로 돌아가자 昔我之初 純然天理(석아지초,순연천리) 처음 .. 서예/행초서 2013.07.01
明心寶鑑.正己편 福生於淸儉하고 德生於卑退하 道生於安靜하고 命生於和暢하고 "복(福)은 청렴하고 검소한 데서 생기고, 덕(德)은 겸손하고 사양하는 데서 생기며, 도(道)는 편안하고 고요한 데서 생기고, 생명은 온화하고 맑은 곳에서 생긴다. 物順來而勿拒며 物旣去而勿追하고 身未遇而勿望하며 事已.. 서예/행초서 2013.05.21
낙도음 가주벽산잠 家住碧山岑 산속에 들어와 집 지어 살지만 종래유보금 從來有寶琴 내게는 예부터 보배 거문고가 있어, 불방탄일곡 不妨彈一曲 때로는 한 곡조 타고 싶지만 지시소지음 祗是小知音 내 곡을 들어줄 사람이 없네. 낙도음(樂道吟)이라 알려진 고려 중기 청평거사 이자현(李資玄10.. 서예/행초서 201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