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 獨島韓國土 古戒東海領 奮起前走去 候樓爲保存 )독도는 한국땅 엣선조들이 남긴 동해 영역 용맹스럽게 떨쳐 일어나 달려가 적의동태를 살피는 망루로서 영원히 보존하자. 좋은글/한시(漢詩) 2015.10.03
[스크랩] 도연명의 음주 감국(甘菊) 飮 酒[술을 마시며] 陶 潛(字; 淵明, 365~427) 結廬在人境, (결려재인경) 사람 사는 곳에 초가를 엮었지만, 而無車馬喧。(이무거마훤) 수레나 말이 시끄럽게 하지 않는다. 問君何能爾, (문군하능이) 그대에게 묻노니 어찌 그럴 수 있는가? 心遠地自偏。(심원지자편) 마음이 멀어지.. 좋은글/한시(漢詩) 2015.10.01
[스크랩] 이율곡의 산중 선운사 단풍 산속에서[山中] 李栗谷(이율곡) 採藥忽迷路 (채약홀미로) 약초 캐다 홀연히 길을 잃었는데 千峰秋葉裏 (천봉추엽리) 일천 봉우리가 가을 낙엽 속에 있네. 山僧汲水歸 (산승급수귀) 산중 스님이 물 길어 돌아가더니 林末茶烟起 (임말다연기) 숲 끝에서 차 달이는 연기 피어나네.. 좋은글/한시(漢詩) 2015.10.01
[스크랩] 이서구의 소나무 그늘에 누워서 조선시대 이명기, <송하독서도>, 종이에 채색, 103.8×49.5cm. 삼성리움미술관 소장 소나무 그늘에 누워서[少臥松陰下作] -早秋&#15445;洞陰弊廬。晩步溪上作三首 중 其三- 李書九(이서구) 讀 書 松 根 上 (독서송근상) 卷 中 松 子 落 (권중송자락) 支 &#31559; 欲 歸 去 (지공욕귀거) 半 .. 좋은글/한시(漢詩) 2015.09.21
[스크랩] 경희궁 수위에서 영의정까지 올라간 한명회이야기 경덕궁(경희궁)지기에서 영의정까지 한명회는 조선이 나라를 세우고 뿌리를 내리려 할 때, 명나라에 가서 조선이라는 국호를 확정짓고 돌아온 사람이다. 그는 조실부모하여 어릴 때부터 많은 고생을 하였다. 과거 시험엔 여러 번 떨어지고 38세가 되던 1452년에야 겨우 과거 시험에 합격하.. 좋은글/속담 전설,역사이야기 2015.05.22
[스크랩] 조선조 국왕들의 일화 조선조 국왕들의 일화 태종 1. 직업정신 투철한 사관이 따라다니며 일거수일투족을 다 기록해서 태종이 걷다 헛발질한 것도 적었다. 태종이 그건 제발 지워달라, 창피하다 애원까지 했는데도 사관은 끝까지 "왕이 길을 걷다 헛발질하다. 헛발질한 것을 적지 말라고 말한 것은 적지 말.. 좋은글/속담 전설,역사이야기 2015.05.12
[스크랩] 화이부동과 부화뇌동 화이부동 (和而不同) 남과 사이좋게 지내기는 하나 무턱대고 어울리지는 아니함. 혹은 남들과 어울리고 조화로울 필요는 있지만 반드시 똑 같을 필요는 없다. 다름 가운데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 군자의 도리이다. 부화뇌동(附和雷同)의 유래 『예기(禮記)』 <곡례(曲禮)> 상(上)에 이.. 좋은글/한문사자성어천자문,좌우명 2015.04.17
[스크랩] 가려뽑은 `논어(論語) 20선` 가려뽑은 '논어(論語) 20선' <1>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자왈>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아. 배운 것을 자주 익히어 내 지식으로 만들면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子曰>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자왈> 유붕이 자원방래면 불역낙호아. 마음에 드는 친구가.. 좋은글/한문사자성어천자문,좌우명 2015.04.16
[스크랩] 가훈 자료 108가지 8 가훈 자료 108가지 01 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가정이 화목하면 무엇이든지 잘되어 나간다 02 苦盡甘來 (고진감래) 고생끝에 낙이 온다는 말 03 公平無私 (공평무사)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 04 克己復禮 (극기복례) 욕망을 억제하여 바른행동을 한다 05 公生明 (공생명) 공평하면 판단을 .. 좋은글/한문사자성어천자문,좌우명 2015.03.16
[스크랩] 春 畵題 1) 春江花塢 (춘강화오) - 봄 물 가득한 강과 꽃핀 언덕. 2) 春江獨釣 (춘강독조) - 봄의 강가에서 홀로 낚시질을 한다. 3) 春江淡遠 (춘강담원) - 봄의 강이 맑고 멀리 이어지도다. 4) 春日喧和 (춘일훤화) - 봄날은 따뜻하고 한가하다. 5) 陳去新來 (진거신래) - 낡은 것이 가고 새로운 것이 온다.. 좋은글/속담 전설,역사이야기 2015.01.06